출애굽기
(1) 책의 이름
영어 성경의 “Exodus"라는 명칭은 구약의 그리스어 역본(70인 역)에서 유래한 것으로 ‘출구 또는 출발’을 의미한다.
(2) 기록 목적
창세기가 하나님께서 족장들과 맺은 언약과 개인적인 삶을 특징적으로 기록한 것이라면, 출애굽기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과 그 언약을 갱신하고 영속시킨 것과 민족적인 삶으로 시작되는 장면으로 특징지은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출애굽기를 읽어보면 이 책의 주된 특징은 ‘해방 또는 구속’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① 구속의 출처와 도구 -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하여 행하심(1-6장)
② 구속의 필요와 실제 - 속박과 유월절(7-12장)
③ 구속의 결과와 목적 - 구원과 분리와 섬김(13-40장)
(3) 내용 분류
출애굽기의 목적은 서론과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실제적인 내용들에 의해서 한층 더 풍부해진다.
① 서론 : 일반적인 준비(1-2장)
ⓐ 백성들은 해방을 위해 준비한다.(1장)
ⓐ 해방자가 백성들을 위해 준비된다.(2장)
② 첫 번째 부분 : 언약에 대한 준비(3;1-18:27)
ⓐ 준비되는 해방(3-6장) : 준비
ⓑ 실행되는 해방(7-12장) : 능력
ⓒ 확증되는 해방(13-18) : 보호
③ 두 번째 부분 : 언약의 공급(19-34장)
ⓐ 언약이 제정됨(19-24장) : 가르침
ⓑ 언약이 계속됨(25-31장) : 증거막(성막)
ⓒ 언약이 위반됨(32-34장) : 시험
④ 세 번째 부분 : 언약의 영속성(35-40장)
ⓐ 증거막 건립을 위한 지시사항(35:13-36:7)
ⓑ 재료들의 준비(36:8-39:43)
ⓒ 증거막 건립의 완성(40장)
* 출애굽의 목적
출애굽의 목적은 책의 구조에서 입증된다.
① 하나님에 의해 부르심을 받은 한 사람 아브라함의 응답에서 시작(1-12장)
② 인도함을 받아 이집트에서 나오게 되고, 후에 반도에서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후 한 민족으로 구성되고 조직(13-18장)
③ 증거막으로 인해 세상과 구별되며 하나님께 성별(19-40장)
(4) 예표들(types)
창세기처럼 출애굽기도 높고 영적인 진리에 대한 소망을 가짐에 그 가치가 있다. 창세기가 개인적 예표들과 관련이 있다면, 출애굽기는 역사 안에서 찾아볼 수 있다.
① 인물들 : 모세와 아론(히 3:1에서 ‘사도이며 제사장’)
② 장소들 : 이집트(세상), 홍해(능력)
③ 사물들 : 양(구속), 목초지(훈련), 기둥(보호), 만나(식량), 바위(음료), 증거막(하나님의 현존)
④ 역사 : 전체적인 역사(고전 10:6, 11에서 ‘가르치고, 경고하는 본보기’)
(5) 메시지
출애굽기의 주된 메시지는 ‘구속’이다.(3:8, 15:13, 19:4)
① 구속의 필요성 : 죄의 종으로 묘사된 예표, 이집트
② 구속의 계획 : 분리와 제물; 구속과 믿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