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민수기

blessing u 2020. 9. 24. 09:53

 

민수기

(1) 책의 이름

토라의 네 번째 책은 영어 성경에서 “Numbers" 또는 ”Numbering"으로 되어있다. 이 용어는 그리스어인 아리스모이이며 ‘수’라는 명사의 복수형 의미에서 유래했다. 히브리어 성경의 제목은 ‘버미드바르’로 그 의미는 ‘광야 안에서’이며, 이 책의 구체적인 내용을 묘사해 준다. 그리고 출애굽기, 레위기와 마찬가지로 접속사 “?”(그리고)를 근거해서 앞선 책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기록 목적

이스라엘 백성들은 도보로 15일이면 도착할 가나안을 40년이나 지연되어 도착했다. 이 책에는 하나님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장애물 역할을 하는 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민수기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 체험을 기사를 말하고 있다. 특히 일어나지 않아야 할 것들과 필요하지 않은 일들에 대한 광야 체험을 다루고 있다.

 

(3) 특징

광야에서의 15개월간의 시내산 생활을 제외하고 민수기는 40년 동안 알려진 모든 일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1:1, 33:38. 36:18) 그래서 38년간의 침묵은 시내 광야에서 있었던 풍부한 기록과는 대조적인 모습으로 특징지어진다.

증거막은 집결하는 장소였고, 33장에 나오는 이집트에서 가나안 접경까지 나오는 여행 경로의 이름들은 방랑의 세월을 보냈던 장소들의 이름들일 것이다.

 

(4) 내용 분류

민수기는 일반적으로 두 번에 걸친 인구조사로 나타나는 조직편성에 의해 명시된 두 개의 내용으로 나누어진다.(1장, 26장)

첫 번째 집합 인원은 이집트로부터 나온 세대였으나(1-25장) 그들은 스스로가 짊어져야 할 재앙으로 그 끝을 맺는다.

그다음에는 새로운 세대로 구성되어 있는 두 번째 세대가 나온다.(26-36장)

① 조직의 편성 : 시내 광야에서 행진을 위한 준비(1-10장)

ⓐ 각 지파의 진의 조직(1-4장)

ⓑ 진의 정결(5-6장)

ⓒ 진의 예배(제사)(7:1-9:14)

ⓓ 진의 행진(9:15-10:36)

 

② 조직의 분열 : 가데스에서 행진이 좌절됨(11-25장)

ⓐ 불만족과 불신(11-12장)

ⓑ 불순종과 벌(13-14장)

ⓒ 훈련과 죽음(15-20장)

 

③ 조직의 재편성 : 다시 가데스에서 진행이 갱신됨(26-36장)

ⓐ 새로운 인구조사(26장)

ⓑ 새로운 경험들(27, 31, 34장)

ⓒ 새로운 법들(28-30, 33-36장)

 

(5) 예표들

기독교인들은 불순종으로 인한 광야 경험을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구속(이집트)과 가르침(출애굽기)과 예배(레위기)로부터 오는 풍성한 기독교인의 삶(가나안, 여호수아서)을 향하여 불순종을 거치지 않고 똑바로 나아가기를 기대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