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레위기

blessing u 2021. 1. 6. 07:54

 

레위기

 

본서의 명칭은 70인경으로부터 유래된 Leviticus(리비티쿠스)의 의미는 “레위 인에게 속한” 이란 뜻이다.

 

레위기는 세 번째 자리(창출례)에 놓여있으나 실상 구약성경의 중심이 된다.

그리고 구약 성경 중 가장 먼저 기록된 책이다.

창조와 타락과 구속으로 이어진, 위의 두 책의 사건. 즉 (출애굽기 20:) 아담과의 언약이 무너진 다음, 선택받은 아브라함 안에서 친 백성이 재 언약으로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 속에서 사역을 감당할 것인가?를 나타내 보여준다.

 

1) 배경과 의의

출애굽 한 이스라엘에게 성 막을 지어 하나님을 왕으로 모시고 세상의 제사장 나라로 사역할 민족에게, 그 영광스럽고도 존귀하고 거룩한 자리를 제대로 지키려면 어떠해야 함을 지시하신 명령이다. (출 40:17을 참조.)

 

 모세가 시내 산에 올라 40일 지나면서 받은 것은 세 가지로서. 1. 십계명. 2. 레위기의 내용. 3. 성 막의 설계입니다.

그리고 레위기는 친 백성 된 이스라엘을 훈련하여 400년간 세속화한 백성을 성민으로 만드는데 필수 교본인 것이며 한 달여 만에 도착한 시내 산에서 일들을 다 마치고 그곳을 떠나기 전 약 1달 20일간에 기록된 것이다.

 

2) 법률과 5가지의 제사.

레위기를 두 부분으로 나눈다면 첫째.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1:1-17:16.

둘째. 하나님을 섬기는 법 (18:1-24:

 

각 장별 내용

1: 서론 형식으로 모든 섬김의 자세를 말한다.

2: 제사장 위임식. 3: 나답과 아비후의 잘못 드린 제사. 4: 음식물에 관한 규례. 5임산부의 지킬 일들. 6: 나병의 진찰 규정과 관리법. 7: 유출 병(성병)의 관리 요령. 8: 성도덕의 규례. 9: 자비의 윤리 규정. 10: 반드시 사형에 처할 죄목 규정. 11: 제사장의 처신 구례. 12: 성물을 다루는 요령. 13: 거룩한 명절로서 문화의 창달지시. 14: 회막 관리 요령과 신성모독 죄의 처벌 규정. 15: 안식의 교리와 토지 원리. 16: 축복과 저주의 말씀.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3) 다섯 제사 규례

1. 번제- 태워서 드리는 제사. (1: )

2. 소제- 고운 가루에 기름을 붓고.(2: )

3. 화목제- 제사를 드리고 함께 나누어 먹는 제사.(3: )

4. 속죄제- 법령을 그릇 범한 죄의 속죄제.(4.5:)

5. 속건제. 부지중에 지은 죄가 알려 젓을 때에 나 이웃에게 손상을 입혔을 때의 제사 등이다.(5:14-6: 7)

 

4) 여덟 절기에 관한 것

1. 안식일.  (23:1-3)  (제7일 안식일과 그 외의 안식일)

2. 유월절. (23:4-5)

3. 오순절. (23:15-22)

4. 나팔절 (23:23-25)

5. 속죄절 (23:26-32)

6. 장막절. (초막절) (23:33-36)

7. 안식년 (25: )

8. 희년 (25:8-24)

 

5) 복음적 조명

*레위기의 중심 교훈은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 하라” (레 11: 45)

실제로 인간의 거룩은 거룩하신 분 안에서만 가능하며 거룩 안에 이르는 길은 그리스도의 보혈뿐인 것이다.

 

 구약의 제사에는 피가 필수적이다. 그리하여 성도들은 읽기가 쉽지 않고 현실과 거리가 먼 것들이 많기 때문에 별 흥미를 못 느낀다.

그러나 실상은 대단히 중요한 계율이며 그 모든 피의 역사는 그리스도의 구속의 피안에 함축된다.

레위기의 명령 이후 (그전도 마찬가지이지만) 이스라엘은 그 표준(잣대)에 의해 복과 저주를 받았다. 이후 지속적으로 너희가 언약을 어기고... 하실 때에 항상 등장하는 계명이 레위기인 것이다.  이 모든 것을 함축하고도 남은 것이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피 이며 우리는 그 은혜로 말미암아 “거룩”에 이른 것이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