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기
(하나님은 자기 백성 중에서 믿음의 씨를 유지해 오셨다)
1) 명칭과 기록 연대
명칭은 70인경(구약 헬라어 역)에서 나온 것으로 17:18절에 기인한. 율법의 복사, 즉 두 번째 율법을 의미한다.(히브리어 성경의 제목은 ‘엘에 하데바림’ .“말들은 이러하니라”라는 뜻이다. (모세의 고별 설교이기도 하며 율법을 백성들 뇌리에 새기게 하는 교육이기도 하다)
기록한 때는 레위기 이후 광야를 다 지나고 모압 평지에서 모세가 세 번에 걸쳐 율법과 훈계를 재조명한 것을 알 수 있다.
2) 신명기의 세 장면
1. 모세의 첫 연설 -뒤를 돌아 보라? (율법을 받은 데서 요단 강가에까지. 1-4장)
2. 모세의 두 번째 -위를 쳐다보라? (경고와 권고. 5-26:)
3. 모세의 세 번째 -앞을 내다보라. (축복과 저주... 27-33:)
3) 본서의 복음적 의의
신명기는 레위기를 근거로 하여 선민 교육의 내용이며 모세가 ‘지난 40년’을 회고한 것이며. 특히 미래에 대한 예언적인 요소가 많습니다. 이로 인하여 사도들뿐 아니라 예수님께서도 신명기를 많이 인용하셨으며. 그 외의 예언들은 문자 적으로 다 이루어 젔습니다.
*신 8: 3 “너를 낮추시며 너로 주리게 하시며 또 너도 알지 못하며 네 열조도 알지 못하던 만나를 네게 먹이신 것은 사람이 떡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요 여호와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사는 줄을 너로 알게 하려 하심이니라” 그 말씀은 예수그리스도며 그가 친히 만나(떡이)시다. (사람은 오직 예수로만 살수 있다.(요 6:30-35)
신 18:15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의 중 네 형제 중에서 나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너를 위하여 일으키시리니 너희는 그를 들을지니라. 만일 듣지 아니하면 백성주에서 끊쳐지리라” 하신 것을 베드로가 웨치고 있다. (행 3:22-23)
모세는 여호수아를 후계자로 세우고 자신은 하나님의 명을 따라 느보산 산록, 비스가 언덕에 묻혔으나 하나님이 그 시체를 가져가셨고. (유다 9) 변화산에 오르셨을 때에 엘리야와 함께 주님의 사역을 의논하러 왔던 것이다. (마 17:1-3.)
* 이렇게 하여 모세 오경, (율법서)는 완성된 것이다.
얼마나 장엄하고 감격적이며 하나님을 경외하게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