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속건제(레 5;14-6:7)

blessing u 2020. 10. 17. 11:11

 

속건제(레 5;14-6:7)

 

과오에 대한 견책.. 과오에 대한 책임.. 그 책임에 대한 보상 행위.. 포함. 속 건제란 말은 물질에 대하여 과오를 범했을 때 그 범과에 대한 배상 물(레 5;6, 민 5:8, 삼상 6:4), 또는 배상금(왕하 12:16)을 뜻한다. 속건제는 엄숙히 말해서 제2급의 속죄제라고 할 수 있다. 속죄제는 하나님의 계명을 어긴 죄 때문에 드리는 것이다(4:1-5:13). 속건제는 제물에 대한 하나님의 권리나 또는 영역 그리고 사람의 제물에 대한 권리나 영역을 침해한 과실에 관계되는 것이다. 즉 제물에 대한 죄에 관계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것은 하나님의 제물이다.  사람에 제물에 대해서 그의 주권을 침해하여 죄가 되었을 때 그것을 보상, 즉 상환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물건에 관계되는 죄(레 5;14-19). 여호와께 바칠 물건을 도적 함의 죄. 우상에게 제물을 드린 죄이다(대하 28:22, 25, 29:6).

 

사람의 제물에 관계되는 죄(레 6;1-7).

 

남의 물건을 맡았다가 돌려주지 않고 그 사실을 부인하는 자.. 전당 잡거나.. 강도질.. 늑봉(강제적으로 탈취하는 죄).. 유실물을 얻고도 돌려주지 않는 죄(3절).. 고용인에게 삯을 주지 않는 죄(레 19:3, 말 3;5).. 청지기가 주인의 물건을 팔아먹는 죄.. 장사꾼이 매매하는 중에 거짓말로서 사람의 돈을 속여 가지는 죄.. 과부나 고아나 나그네에게 가야 할 재물을 안 주는 죄.. 부지중에 죄를 범했을 때 등등이다. 이런 범죄를 했을 경우에는 보상, 변상, 성별 그리고 성결케 하는 제사이다. 사람 앞에 대가를 지불하고 하나님 앞에서 용서를 받는 제사이다.

 

속건제의 규례.

 

하나님은 재물 관리에 있어서도 주권자이시다. 죄를 뉘우쳐 자복함으로만 되는 것이 아니고 그 물건을 본 주인에게 돌려주어야만 되는 것이다. 예수님은 우리의 속건제이다. 이 죄는 하나님을 배반한 죄가 아니다. 이 죄는 타락한 죄가 아니라 실수와 실족한 범죄이다. 이 죄는 하나님의 성물을 범한 죄(십일조, 첫 열매, 서원을 불이행, 하나님의 것을 탈취)와 이웃에게 한 죄(악행, 물질 손해, 심신)이다.

 

마 12 : 31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의 모든 죄와 훼방은 사하심을 얻되 성령을 훼방하는 것은 사하심을 얻지 못하겠고

히브리서 9장 11절

그리스도께서 장래 좋은 일의 그림자로 오사

번 제는 죄에서 우리를 구원하시는 예수 그리스도.. 소제는 죄인이 그 옛 죄에서 구원 얻은 후 어떻게 감사해야 된다는 방도를 제시... 화목제는 구원받은 자로서 하나님과 더불어 화평.. 속죄제는 이미 구원 얻은 사람일지라도 그릇 범하여(특히 계명) 실수했을 때 회개와 죄 사함.. 모든 제사의 중심은 사죄가 그 중심이다. 

 

모든 제물의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이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