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경의 인물과 연대 2
신약성경의 인물과 연대 2
레이먼드 E. 브라운의 신약 개론에서 발췌
네로
(주후 54-68)
아나니아
(주후 47-59).
아나누스 2세
(안나스의 아들)
(주후 62)
벨릭스(주후 52-60)
베스도(주후 60-62)
알비누스(주후 62-64)
플로루스(64-66)
53년에 헤롯 아그립바 2세가 이두래아와 드라고닛 지역을 획득
-바울의 “제3차 전도여행”(54=58). 주요 서신의 저술
-벨릭스 치하의 팔레스타인에서 반란 폭동 발생. 강도떼. 검을 소유한 폭 력주의자들. 애굽의 “예언자들” 가이사랴에서의 바울의 투옥(58-60). 대 제사장 아나니아의 고발. 차기 행정관 베스도가 바울 헤롯 아그립바 왕에게 데려감. 바울 로마로 압송(60)
-베스도가 죽은 후, 대제사장 아나누스 2세에 의해 소집된 산헤드린 공회 가 “주의 형제” 야고보를 유죄 선고, 돌에 맞아 죽게 함. 아나누스는 차 기 행정관에 의해 제거됨. 아나니아의 아들 예수가 하나님께서 예루살렘과 성전을 파괴하실 것이라고 경고한 이유로 예루살렘 유대 권위자들에 의해 체포됨(60년대 초). 사형을 위해 로마인들에게 넘겨지나 학대를 당 한 후에 알비누스가 그를 풀어 줌. 알비누스와 플로루스는 부패하고 폭 정을 일삼는 통치자로서 폭동을 유발함.
-로마 대화재(64). 네로가 로마의 기독교인들을 박해. 베드로와 바울의 처형
갈 바, 오토, 비텔리우스(68-69) 플라비우스 가계의 황제 계승.
베스파시안과 디도(69년 이후)가 이끄는 로마 군대가 1차 유대 반란의 혁명세력과 대치(66-70)
헤롯 아그립바 2세가 반역 중에도 로마의 편에 남음
66년 5월 플로루스가 시가전에 의해 예루살렘을 탈출. 폭도가 도시를 탈취. 혁명이 유대와 갈릴리로 확산. 젤로 당은(율법을 위해) 반역을 거부한 유대인들을 살해. 아마도 기독교인들은 토랜스 요르단의 펠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요세푸스가 로마인들에게 감.
베스파시안
(주후 69-79)
로마인들에 의한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70년 8월 10일)
헤롯 아그립바 2세가 약 100년경 그가 죽을 때까지 그의 영역을 지켜냄
-예루살렘을 탈출한 율법선생 요한나 벤 삭개가 얌니아(아브네)에 랍비학교를 설립
주후 70년 이후의 황제들
주후 70년 이후의 팔레스타인과 유대교
주후 70년 이후의 기독교
79년까지 베스파시안 지배
(71년 로마에서 디도의 승전을 환호)
디도(주후 79-81)
도미티안(주후 81-96)
팔레스타인에서의 로마 지배
-갈릴리 사람 유다의 손자 엘르아살은 74년 맛사다에서 함락. 로마에서 요세푸스가 ‘유대 전쟁사’를 저술
-랍비 선생들이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지도자 로서 대제사장을 대신함. 랍비 가말리엘 2세 (주후 90-110)가 주요 인물.
-로마에서 요세푸스가 ‘유대고대사’를 저술
-다수의 신약 저술(복음서들, 제2 바울서신들, 히브리서, 베드로전서, 야고보서, 계시록, 요 한 일 이 삼서). 클레멘트 1 서(96년 경 로마에서)
-필경, 예수의 친족이 팔레스타인 교회들을 주관
-도미티안 치하 유다(예수님의 형제)의 손자 가 심문당한 것으로 추정. 기독교인들에 대 한 또 다른 국지적 학대.
네르바(주후 96-98)
트라얀(주후 98-117)
-유대 묵시문학(에스라 4 서, 바룩 2 서. 주후 95-129년경)
-애굽, 구레네, 구브로, 메소포다미아에서의 유대 반란(115-119)
-디다케(100년 이후). 이그나티우스의 편지 (110). 폴리갑의 편지.
-이그나티우스 로마에서 순교(110). 서머나에 서 폴리갑 감독
하드리안(주후 117-138)
-예루살렘이 아엘리아 카피톨리나로 재건됨 (130년 이후)
-시몬 벤 코시바(바르 코흐바 : 랍비 아키바의 승인, 132-135) 지휘 아래 제2 차 유대 폭동
-패배로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에서 쫓겨남. 성전 지역이 주피터 제의를 위해 봉헌됨.
-베드로후서, 헤르마스의 목자(10년대?). 마가의 비의 복음. 베드로 복음. 야고보의 원복 음.
-아마도 130년 말경. 예루살렘에서 유대 기 독교인의 지도권이 이방인 감독에게로 넘어 감.
-폴리갑의 서머나 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