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느혜미야

blessing u 2021. 2. 17. 08:37

 

느헤미야 

 

  1) 저자와 배경

 

본서의 저자는 느혜미아인 것이 1:1에 나타난다. 느헤미야는 바사 왕국에서 아닥사스다 왕의 술 관원으로서, 왕이 마시는 술에 무슨 독이나 넣지 않았는지를 살피는 일을 하였으니 대단히 중요한 일을 맡은, 신임 있는 인물이었고 큰 총애를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때때로 왕의 모사가 되기도 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느헤미야는 굳은 신앙심과 하나님의 백성을 지극히 사랑하고,  민족성이 누구보다도 강한 사람이며 성경 전체를 통해 보아도 애국심으로는 으뜸가는 사람이었다.

 

 시대의 배경은. 에스라와 같은 배경을 가졌으며 ‘고레스 왕’ 이 유다의 귀환을 허락하여 처음 귀환한 때부터 근 100년이 흘렀어도 유다는 예루살렘 성을 쌓지 못하고 있을 때에 느헤미야가 이 사정을 인하여 아닥사스다 왕에게 간청하여 민족을 돌아볼 기회를 얻는다.

(일 설에, 에스드 왕후가 아닥사스다의 계모였다고 하며 이로 인해 모르드개의 도움을 많이 받았을 것이라 한다,)

  2) 본서의 의의

 

 에스라 보다 13년 후에 예루살렘에 도착한 느헤미야는 도착 3일 만에 황폐된 성의 모습을 밤에 시찰하고 백성을 독려하여 성 쌓기를 시작한다. 그러나 사방의 적들이 집요하게 방해하여 방비와 사역을 동시에 진행시켜 드디어 성공한다. 

 

 그리고 유다 인을 계수 하여 4,236명임을 확인하고. 유대인이 바벨론 포로 이후부터는 우상숭배는 오늘날까지 하지 않지만 이방 여인을 아내로 혹은 첩으로 맞는 이방 결혼이 심하므로 그러한 문제를 획기적으로 시정하고 안식일의 준수도 엄격히 하고 하나님을 찬양하는 찬양대도 구성하였다.

 느헤미야는 평안하고 안전한 생활의 보장을 버리고 형극과 질고의 사역을 자청하고 하나님이 이 섬김을 알아주실 것을 몇 번이고 말씀드린다.

  3) 복음의 조명

 

 느헤미야 서는 우리 주님을 ‘구속 자로 나타낸다.

그리고 그는 큰 개혁자였으며 선지자로서의 말라기와 함께 정치가로서의 총독인 느헤미야처럼. 오늘날도 신앙의 개혁을 위한 인물이 요구된다.

 

  4) 장면

 

1. 성벽의 재건. 1:1-7:73.

2. 언약의 갱신. 8:1-10:39. 3. 민족의 개혁. 11:1-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