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05

성경 속 숫자의 의미 2

성경 속 숫자의 의미 2 ▶ × (곱하기) : 충만, 번성 ☞ 3 × 4 : 충만, 번성 ☞ 7 × 7 = 49 : 무한 ☞ 12 × 12 =144 : 하늘과 땅을 합한 천국의 크기 ☞ 12 × 1000 = 12,000 : 택한 백성의 수 ☞ 12 × 12 × 1,000 = 144,000 : 택함 받은 자의 수 (144 × 1,000 = 천국 백성) ▶ + (더하기) : 존재 ☞ 7 + 7 =14 : 언약의 성취 (예수님의 족보 14대, 14대, 14대) ☞ 3 + 4 -> 7 : 하늘과 땅의 존재, 전체, 전부 ☞ 7 + 1 = 8 : 부활, 영원 ☞ 12 + 12 = 24 : 성도들의 대표 (신․구약 대표) 수(數, number)는 사물의 많고 적음을 세는 말(창 41:49;롬 9:27)로 히브리인들..

카테고리 없음 2020.03.16

성경 속 숫자의 의미

성경 속 숫자의 의미 히브리어의 알파벳이 나타내는 숫자로써 그 단어가 지닌 뜻을 풀어 성서를 해석하는 이러한 방법을 게마트리아[Gematria]라고 한다. 유대교의 랍비들, 특히 중세의 카발라주의자들이 많이 사용했다. 히브리어 알파벳은 모두 22자인데, 처음 10자는 차례로 1부터 10까지의 수를 나타내고, 다음의 8자는 차례로 20부터 90까지의 10단위 숫자를 나타내며, 나머지 4자는 차례로 100부터 400까지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히브리어 철자를 보고 숫자를 계산하여 뜻을 알아내는 방법입니다. 이를테면 ‘엘리에젤’(창세 15:2)은 아브라함의 종 318명을 가리킨다고 해석합니다. (창세 14:14).

카테고리 없음 2020.03.14

예수그리스도의 족보

예수그리스도의 족보 (1) 족보 속에 기록된 예수 그리스도 예수 그리스도는 멜기세덱의 반차(반열)를 좇아서 오신 ‘별다른 한 제사장’으로, 본래부터 족보가 없는 영존하신 하나님이십니다(히 1:12, 7:24, 13:8). 이러한 분이 인성을 가지고 성육신하시어 ‘유다 지파 다윗의 후손’이라는 ‘족보’ 속에 그 이름이 기록된 것은, 죄악된 인간을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섭리와 사랑 속에 이루어진 초절정의 은혜의 사건입니다(참고- 롬 1:3-4, 빌 2:6-8, 히 2:14-17). (2) 예수님 족보에 오른 여인(女人) ① 다말 ; 야곱의 4남인 유다의 맏 며느리(창 38:30) ② 라고 합 : 여리고 성의 기생(수 2:1) ③ 룻 ; 모압 여자(룻1:4) ④ 밧세바 : 우리아의 아내로 다윗의 아내가 됨(삼..

카테고리 없음 2020.03.13

성경에 나오는 족보들

성경에 나오는 족보들 성경은 ‘여자의 후손’ 한 분을 고대하면서 아담과 하와의 가족을 시작으로 경건한 계통을 보존하며 끊임없이 이어 가는 거룩한 족보의 역사입니다(말 2:15). 1) 창세기의 족보 창세기는 구속사를 압축한 열 개의 족보(톨레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창세기 5:1에 아담의 ‘계보’를 기록하고 있는데, ‘계보’는 히브리어로 ‘세페르 톨레도트’이며, 그 뜻은 ‘족보 책’입니다. 이는 창세기 5장의 족보가 단순한 인명 나열이 아닌, 하나님의 방대한 구속 경륜을 압축하여 기록한 ‘책’과 같은 것임을 나타냅니다. 2) 역대기의 족보 역대기 족보는 아담부터 제2차 바벨론 귀환 세대까지 약 3,600년이 넘는 역사를 중요한 언약 체결자들을 중심으로 압축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대상 1-9장)...

카테고리 없음 2020.03.12

성경 족보의 의미

* 성경 족보의 의미 1. 족보(族譜, genealogy) 가계에 속하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기록(대상 5:1;대하 31:19;히 7:3;딤 전 1:4). 기록의 형식(순서)은 선조에서 자손에로 내리 열기하는 하강 순의 것과(루트 4:18-23;마 1:1-16), 자손에서 선조에로 올라가는 상승 순의 것(스7:1-5;눅3:23,38)이 있다. 신약에는 왕 또는 제사장으로서의 예수그리스도의 족보가, 두 곳에 보여 있다(마1:1-17;눅3:23-38). 족보에 엉킨 기이한 일들에 몰두하는 일을 경계하고 있다(딤전1:4;딛3:9). 2. 족보의 중요성(重要性) ① 기업 결정을 위해(민 1,2,7,10,26,36장;수 7,13장) ② 기업 보존을 위해(루트 3:9,12,13,4:1-10) ③ 왕위(다윗의 자손..

카테고리 없음 2020.03.11

골로새서 특징

골로새서 특징 1. 그리스도에 대한 기독론이 잘 정리되어 있다(골 1:15~20). 이는 예수님의 신인(神人) 양성을 00 부정하는 이단 사상에 대한 반론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조화롭게 말한다. 2. 교회와 가정의 윤리 등 에베소서와 비슷한 내용이 들어 있다. 교회에 대해 언급할 때 00 에베소서가 만물의 마지막에 관심을 두었다면 골로새서는 창조를 강조한다(골 1:15~17). 3. 이단 사상을 배격하기 위해 기록되었는데도 논쟁적이거나 강한 어투보다는 논리적이고 00 점잖은 어조로 쓰였다. 골로새(Colosse) 소아시아의 서남에 위치한 도시로 라오디게아, 히에라볼리와 함께 번영했던 도시다. 그러나 이 두 도시가 번창하면서 근접한 골로새는 점점 쇠퇴해 갔다. 바울 시대의 골로새는 인구도 감..

카테고리 없음 2020.03.10

장막절

장막절 7월 15일 (Tishri) -7일간 * 속죄 일로부터 닷새 후에 지켜지는 3대 명절 중 마지막 명절 - 추수가 끝나는 시기에 열리므로 수장절(the feast of ingathering)이라고 도 불림 -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40년간 초막(booths)에 거했던 것을 기억하기 위해 나무 가지들로 만든 임시 처소인 초막(booths)에서 7일간 거해야 하기 때문에 초막절이라고도 불림 - 초막(booth) :보호처, 피난 처 (시 27:5, 31:20, 사 4:6) - 초막에 거하는 7일 동안 매일 흠 없는 14마리의 양을 하나님께 드림 - 첫날에 안식, 제 팔일에도 안식 * 두 부분으로 이루어짐 - 곡물과 과일의 수확 (알곡과 쭉정이) - 장막에 거하면서 기뻐함 * 과거를 기억하는 시간이며..

카테고리 없음 2020.03.09

속죄일

속죄일 7월 10일 (Tishri) * 욤키퍼(Yom Kippur) - 유대인의 달력에서 가장 큰 행사로 매우 엄숙한 날이었음 - 온 이스라엘이 자신들의 죄악에 대해서 애통해 하는 날 - 이 날은 큰 안식일(high Sabbath)로 일 년에 단 한차례 대제사장이 지성소에 들어가는 날(히 9:7) - 죄를 애통해하며 속죄를 받는 날 - 깨끗게 함 - 모세의 율법 체계에서 가장 중요하고 큰 의미를 갖는 날 - 국가적 금식, 노동의 중단 - 매 50년째(희년)의 속죄일에는 빚이 탕감되고, 노예가 해방되며, 팔렸 던 땅이 원 주인에게 복귀되었음 (레 25:10-16) * 첫 대제사장이었던 아론이 이스라엘을 위해 속죄함 (레 16:1-28) - 자신, 다른 제사장들, 온 백성, 지성소, 단을 위해 - 아사셀(속..

카테고리 없음 2020.03.07

나팔절

나팔절 7월 1일 (Tishri) * 새롭게 시작하는 날 * 유대인의 전통에 의한 의미 - 새해 초하루 (민간력 즉 舊 달력으로 1월) - 과거를 기억하는 날 - 수양의 뿔로 나팔을 부는 날 (나팔은 주님께서 고안하신 이스라엘과의 통신 수단으로 하나님과 자신의 백성 간의 절대적으로 중요한 연결선이었음) - 심판의 날 * 에스라가 하나님의 언약을 확신시키기 위해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사람들에게 율법을 읽어 준 날 (느 8:2-3) - 바벨론 포로생활 후에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언약을 다시 한번 받아들이는 새로운 시작의 날 * 아마겟돈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 (렘 4:5-6, 욜 2:1-2, 3:11-16, 슥 12:11) * 오순절(봄)과 나팔절(가을) 사이의 4개월의 긴 기간 - 오랜 시간 동안(봄의 오순..

카테고리 없음 2020.03.06

오순절

오순절 3월 6일 (Sivan) * 여름 추수가 끝난 것을 기념함 * 곡식에 낫을 대는 첫날(초실절)부터 7주 + 다음 날 - 무교절의 첫날 안식일 다음날(니산월 16일)부터 50일째 * 새 음식 헌물(소재)을 드림(레 23:16) - 흔드는 빵 두 개(누룩을 넣어서 구운 것) * 유대 랍비들은 유대인 통계연감에 근거해서 주님께서 시내산에서 모세에 게 율법을 주신 날을 오순절 날로 기념함 (출 19:1, 14-20) * 성령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 * 성령님께서 오심(The coming of the Holy Spirit) - 그리스도 부활 후 정확하게(행 2:1) 50일째 -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형성하기 위해 성령님께서 오심. - 율법에 기초한 하나님과 인간과의 새로운 관계(이스라엘)가 형성되었던 바로..

카테고리 없음 2020.03.05

초실절

초실절 1월 17일 (Nissan) * 유월절 후 첫 번째 안식일 다음날 * 제사장이 그 해의 첫 곡식단을 들고 성소로 들어가 그것들을 흔듦 * 노아의 방주가 아라랏산에 정착한 날 (창 8:4) - 홍수 이후 살아남은 첫 열매 * 이스라엘이 기적적으로 홍해를 건넘 (출 14장) - 이집트의 속박에서 새로 태어난 첫 열매 * 이스라엘이 약속의 땅 가나안에서 첫 열매들을 먹음 (수 5:10-12) * 유월절과 무교절은 이집트에서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옮겨가는 동안 지켜질 수 있었던 반면에 초실절과 그 외의 다른 절기들은 이스라엘 자손들이 가나안을 정복한 후에야 기념될 수 있었음 (레 23:10) * 그리스도께서 무교절 기간 중 초실절날에 부활하심 * 부활(Resurrection)과 성도의 안전에 대한 하나님..

카테고리 없음 2020.03.04

무교절

무교절 1월 15일 (Nissan) -7일간 * 유월절과 시간적 간격 없이 바로 이어짐 * 누룩을 제거함 * 7일 동안 지속됨 * 누룩을 넣지 않은 빵 - 고난의 빵(the bread of affliction) - 이집트에서의 억압과 고난을 상징 - 이스라엘이 자유롭게 되었을 때 이 빵은 그들이 이방인의 나라 이집트에서의 누룩, 즉 죄를 뒤에 두고 떠나온 것을 기억하게 했음 * 이집트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이집트 탈출의 여정이 시작됨 *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 양의 피에 의해서 구원을 받은 후에 그 양을 먹 으라는 지시를 받았음 - 모세는 그 피에 의해서 구속함을 받은 사람들만 그 고기를 먹을 수 있다고 정확하게 기록하고 백성들은 이 지시를 따랐음 (출 12:43-51). - 외국인이나 나그네는 그 고기를 ..

카테고리 없음 2020.03.03

* 유월절

* 유월절 * 양이 죽임을 당함 (14일 해질 때) * 양의 선택 -하나님께서 정하심(창 22:8, 계 13:8, 벧전1:19-20, 요 1:29) * 의미 -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약속의 땅에 대해 맺으신 언약 (창 15:18)이 가나안에서 첫 번째 유월절을 지킴으로써 갱신됨 (수 5:11-12) * 장자들을 구속함 * 노예로부터의 해방 *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신 날일 가능성이 큼 - 출 12:41 * 요시야 왕 당시 율법책 발견 후 유월절을 지킴 (대하 34:14, 35:1) * 바벨론 포로 후에 건축된 두 번째 성전이 봉헌된 후 유월절을 지킴 (스 6:16,19) * 유월절 준수와 할례 - 창 17:10-11, 23 수 5:3,8 * 1년의 새 달이 됨 * 유월절은 일곱 절기의 기초가 됨 * 봄에..

카테고리 없음 2020.03.02

침묵 시대(중간기 시기)

침묵 시대(중간기 시기) 1) 역사적 일반 지식 (1) 말라기 : 성전 건축 후 70년 뒤 상황 (2)침묵 시대 기간 : 말라기(BC425년경 ~) 예언부터(말 4:5~6) 세례요한까지(BC4) 약 420년 (3) 다니엘서의 세계 역사 : 바벨론 = 페르시아(바사) = 헬라 = 로마 (4) BC 63년 로마(폼페이우스)의 식민지가 됨 (5) BC 37년 에돔인 헤롯왕의 통치와 재번성 (헤롯의 성전) (AD70년 로마(티투스)의 예루살렘 멸망, 통곡의 벽 = 헤롯 성전의 남은 성전 벽) 2) 중간기 시대의 중요 변화 (1) 페르시아 통치 시대(BC 536 ~) a. 신약에서 말하는 ‘유대주의’가 생겨남 (정경, 회당, 랍비) b. 개인적인 기도와 신앙이 강조됨 (2) 그리이스 통치 시대(BC333 ~) a..

카테고리 없음 2020.02.29

포로 귀환 시대

포로 귀환 시대 1) 3차에 걸친 포로 귀환 : 약 9만 5천 명 (1) 1차 귀환 : 스룹바벨(왕족), 고레스 왕, 바사(페르시아)의 종교 유화정책(스 1:1) 성전 재건(BC516, 이스라엘의 정체성 = 신앙공동체) 학개/스가랴의 활약, 첫 유월절과 제2성전(스 6:14, 스룹바벨성전) (2) 2차 귀환 : 에스라(제사장), 아닥사스다왕, 아하와 강가의 금식(스 8:21~23) 신앙 재건(스 9~10장‘잡혼’) (3) 3차 귀환 : 느헤미야(관리), 아닥사스다왕의 술관원(느1:11) 사마리아의 산발랏, 암몬의 도비야, 아라비아의 방해(느 4장) 성벽 재건(느 4:17‘방해 속의 역사’) 2) 포로 귀환 시대의 현실 (1) 포로 귀환자의 결단 : 하란의 아브라함과 비슷(레 26:34~35) (2) 방해..

카테고리 없음 2020.02.28

포로 시대

포로 시대 1) 아픈 만큼 성숙한 시대 (1) 시편 137편 1~6절 : 포로 시대의 슬픔을 노래한 시 (2) 지속되는 예언(렘 7:13, 25:3~4) : 학개, 스가랴, 말라기를 제외한 선지서들 a. 신명기예언의 성취(신 4:25~28)-회복에의 예언(신 4:29~31) b. 예레미야의 예언 : 포로생활은 하나님의 정당한 심판이므로 받아들이자 그러나 70년이 지나면 회개하고 다시 돌아오게 될 것이다(렘 25:11) (3) 포로생활의 현실 : 물질적으로 풍요로웠으나 영적으론 궁핍한 생활 a.포로의 목적 : 노예가 아닌 반란을 막기 위한 것- 왕하 25:27~30, 단 1장 1차 BC 597년 여호야긴, 2차 586년 시드기야 b. 성전은 파괴되고 하나님께 제사도 절기를 지키러 성전에 갈 수도 없었음 c..

카테고리 없음 2020.02.27

분열 왕국 시대2

분열 왕국 시대 2 4) 북 이스라엘 (1) 여로보암의 길(왕상 12:25~33) (2) 북 이스라엘의 번성기 : 오므리왕가의 야합-시돈 왕 옛 바알의 딸 이세벨(왕상 16:31) (3) 예후의 숙청 : 이세벨 죽음(왕하 9장), 바알 타파(왕하 10:27), 하나님의 약속(10:30) (4) 잦은 정변(혁명) : 7번 (5) BC722년 210여 년 만에 앗수르에 의해 멸망(왕하 17:22~23)-멸망 이유(왕하 17:16~18) 5) 남 유다 (1) 다윗의 길 a. 히스기야 - 앗수르의 산헤립 방어(왕하 18:13~19장), 히스기야 터널(대하 32:30) : 힌놈 골짜기 = 예루살렘 성 = 기혼샘 b. 요시야 - 율법(신명기)의 발견(왕하 22:8)과 개혁(왕하 23:25), 죽음(왕하 23:28~..

카테고리 없음 2020.02.26

분열 왕국 시대

분열 왕국 시대 분열 왕국 시대 1) 솔로몬 왕국의 번영 (1) 경제적 번영 : 홍해 무역(왕상 9:26~28), 아라비아와 대상 무역(왕상 10장, 스바 여왕 (2) 대규모 건축사업 : 도시의 형성(무역/군사도시), 성전 건축 및 왕궁 건축, 신전 건축 (3) 문화 개방 : 외국 문화의 유업, 음악의 발달, 성경들이 기록된 시대 2) 왕국 분열의 이유 (1) 부익부 빈익빈 현상 심화 : 지파 간 갈등 심화(지배계급 유다와 나머지 지파 갈등) (2) 잦은 공사로(20년) 인한 무거운 부역(왕상 12:4)- 세겜 회의(왕상 12장) (3) 애굽의 정치적 공작(왕상 11:14~22 ‘하닷’ 40 ‘여로보암’) (4) 결정적인 이유 : 솔로몬의 영적 타락(왕상 11장) - 스바 여왕(왕상 10:13) 3) 왕..

카테고리 없음 2020.02.25

단일 왕국 시대

단일 왕국 시대 1) 마지막 사사 : 사무엘 2) 왕정체제로의 전환의 의미(삼상 8장) : 하나님의 탄식, 경고 3) 초대 왕 : 사울(베냐민) (1). 세습에 실패한 사사적인 과도기의 왕 (2). 왕으로 세워진 이유 : 외모(삼상 9:2)와 겸손(삼상 9:21,10:22~23) (3). 사울의 변화 : 하나님의 영이 함께 함(삼상 10:9~13) = 사람을 의지함(삼상 14:52) (4). ‘버림받은 왕’ 이유 1 : 월권(삼상 13:8~15), 제사장의 영역을 침범함 이유 2 : 불순종(삼상 15장) (5). 비참한 최후(삼상 31장) : 자살 4)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왕 다윗 (1). 일개 목동에서 이스라엘의 왕으로(삼상 16장)-왕으로 세워진 이유 : 중심(삼상 16:7) (2). 이스라엘 앞에..

카테고리 없음 2020.02.24

사사 시대

사사 시대 1) 사사 시대의 악순환 : 범죄 = 징벌 = 부르짖음 = 구원의 약 350년 역사 2) 사사의 역할 (1) 왕(삿 2:16) : 평시엔 재판을 하며 다스리다가(삿 4:5) 전시엔 전쟁을 지휘함(삿 2:16) (2) 제사장 : 백성들의 문제를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감 (3) 선지자 : 하나님의 음성을 백성에게 들려줌 (왕정체제와 다른 점 : 세습 불가), 사사 시대의 진정한 왕 : 하나님(삿 8:22~23) 3) 사사 연대기 (1) 남부 전투(삿 3:7~31) : 옷니엘(유)/에훗(베)/삼갈(납) (2) 북부 전투(삿 4:1~5:31) : 드보라(에)/바락(납) (3) 중부 전투(삿 6:1~10:5) : 기드온(므)/돌라(잇)/야일(길) (4) 동부 전투(삿 10:6~12:7) : 입다(길) (..

카테고리 없음 2020.02.22

정복 시대

정복 시대 1) 하나님이 계획한 가나안 정복(신 7장) (1) 조건(신 7:1~5) : 무(無) 언약,무(無) 자비(하나님의 심판), 무(無) 결혼, 우상 타파 (2) 이유 1 : 가나안 7족의 죄(신 18:9~12), 이유 2 : 하나님의 선택(신 7:7~8) 2) 정복 준비 (1) 새로운 지도자 여호수아의 등장(수 1장) (2) 여리고 정탐(수 2장) (3) 요단강 도하(수 3장) (4) 언약 확인(수 5장, ‘할례’) 3) 정복 순서 : 중앙 = 남부 = 북부 (1) 여리고 점령(수 6장) : 여호와의 전쟁 - 왕들의 전쟁 (2) 아이성 공격(수 7장) : 작은 성, 아간의 범죄와 처형 (3) 언약 선포(수 8:30~35) : 에발산과(저주) 그리심산(축복) (정복 사이의 삽화(수 9장) : 기브온..

카테고리 없음 2020.02.21

출애굽과 광야 시대

출애굽과 광야 시대 1) 출애굽(구원의 역사) (1) 아브라함 시대에 이미 예언된 사건(창 15:13/출 12:40) (2) 시작 70명(창 46:27) = 출애굽 장정만 60만 명(출 12:37) 최대 400만 최소 200만 명 (3) 부르짖음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출 3:7) 2) 출애굽의 과정 (1) 모세의 선택(출 2장) : 사람을 선택하여 역사를 주관하시는 하나님 (2) 모세의 훈련 : a. 40년간의 애굽 왕자로서 최고의 교육을 받음(출 2:10, 행 7:23) b. 40년간 미디안 광야에서 양치기로 인내와 온유의 훈련을 받음 (혈기 왕성(출 2:12) - 의기소침(출 4:13~14) - 온유의 사람(민 12:3) (3) 출애굽기의 의문점 1 : 모세의 죽음(출 4:24) - 하나님의 말씀에 ..

카테고리 없음 2020.02.20

족장 시대

족장 시대 1) 아브라함 : 믿음의 조상 1) 이주 : 갈대아 우르(창 11:31) : 75세 전에 떠남(창 12:4) = 가나안(12:5) 2) 언약 : 복의 근원(창 12:2~3), 자손(12:2 - 큰 민족), 땅(창 12:7) 3) 시련을 통한 믿음의 성장 : 언약의 성취 a. 기근(창 12장) = 애굽으로 = 아내를 빼앗김 = 하나님의 보호 b. 언약의 재확인(창 15장) : 아브라함의 생각 - 가정 총무 다메섹 사람 엘리에셀 하나님의 약속 - 아브라함의 자손 c. 아브라함의 실수(창 16장) : 86세에 애굽 여인 하갈을 취하여 이스마엘을 낳음 ( 이스마엘 : 현 아랍족속의 시조) d. 할례(창 17장) : 99세, 언약의 상징, 이삭 줄생의 예언 (아브라함의 생각 - 이스마엘) e. 이주(창..

카테고리 없음 2020.02.19

타락

타락 (1) 아담과 하와의 범죄 : 불순종 a. 언약(창 2:15~17) = 유혹(창 3:1) = 수용(창 3:2~4) = 전환(창 3:4) = 범죄(창 3:6) b. 정녕(2:17) = 참으로(3:1) = 죽을까(3:3) = 결코(3:4) = 하나님과 같이(3:5) = 먹음직 / 보암직 / 탐스러움(3:6) (2) 가인의 후예(창 4:16~24) a. 라멕 : 일부다처제의 시조(4:19), 살인의 창궐(4:23~24) b. 유발(4: 21) : 음악(세속문화의 창궐) c. 두발가인(4:22) : 무기 제조 (3) 심판 : 노아의 홍수 a. 하나님의 탄식(창 6:5~8) b. 40일간의 홍수(창 7:11~12) c. 무지개 언약(창 9:11~13) : 언약의 변화가 아담(창 1:28)에서 노아(창 9:1..

카테고리 없음 2020.02.18

천지창조

천지창조 (1) 창조 : 인간은 동물과 다른 특별한 존재, 목적이 있음 (2) 정의: 하나님(창조 주체)이 자신의 주권적 의지(창조 성격)에 의하여, 인간의 행복 과 자신의 영광을 위해(창조 목적)태초에 모든 가시적, 불가시적 우주를 무(無)에서 생기게 하신(창조 방법)하나님의 자유로운 행위. (3) 창조 순서 : a. 1일 : 천지 창조 - 빛 b. 2일 : 하늘 아래 물/궁창 위의 물, 궁창 = 하늘 c. 3일 : 육지/바다, 식물 * 각기 종류대로, 씨가진 열매 d. 4일 : 해와 달, 별 e. 5일 : 궁창(새), 바다(물고기), * 각기 종류대로(생물) f. 6일 : 땅의 짐승 가축 인간

카테고리 없음 2020.02.17

I. 역사 속에 나타난 하나님(구약의 10시대)

I. 역사 속에 나타난 하나님(구약의 10시대) 1.창조시대: 천지창조, 타락, 홍수, 바벨탑 2.족장 시대: 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 3.출애굽과 광야 시대: 출애굽, 시내산, 불신앙, 광야생활 4.정복 시대 : 여리고 점령, 아이성 사건, 가나안 전역 정복, 기업 분배 5.사사 시대 : 범죄 =징벌= 탄원 = 구원의 악순환, 사사, 죄인의 실상 6.단일 왕국 시대: 사울, 다윗, 솔로몬 7.분열 왕국 시대 : 왕국 분열의 이유, 북 이스라엘, 남 유다 8.포로 시대: 포로생활의 예언, 포로생활의 현실, 포로 생활의 의미 9.포로 귀환 시대 : 포로 귀한, 성전 재건, 영적 재건 성벽 재건 10.침묵 시대 : 세력의 변천, 정치적 당파들, 종교적 당파들, 메시아 대망

카테고리 없음 2020.02.15

자연 현상에 관한 이적

자연 현상에 관한 이적 풍랑을 잔잔케 하심 물 위를 걸으심 오천 명을 먹이심(오병 이어의 기적) 사천 명을 먹이심 물고기 입속에서 돈을 꺼냄 열매 없는 무화과나무를 마르게 함 많은 물고기를 잡게 함 물로 포도주를 만드심 많은 물고기를 잡게 함(부활 이후) 죽음을 이기신 이적 야이로의 딸을 살림 나인성 과부의 외아들을 살림 죽은 나사로를 살림

카테고리 없음 2020.02.14

육체적 질병의 치료

육체적 질병의 치료 문둥 병자를 낫게 함 백부장의 하인을 낫게 함 베드로의 장모의 열병을 치료 중풍병자를 낫게 함 혈루 병 앓는 여자를 낫게 함 두 소경의 눈을 뜨게 함 한편 손 마른 자를 고침 바디메오와 다른 한 소경을 고침 귀먹고 벙어리 된 자를 낫게 함 멧새다의 소경을 보게 함 고창병 든 자를 낫게 함 열 문둥 병자를 고침 말고의 잘린 귀를 붙여 줌 가버나움의 왕의 신하의 아들을 고침 메데스다 못 가의 병자를 치료 나면서부터 소경 된 자를 보게 함

카테고리 없음 2020.02.12

전도의 주체

전도의 주체 전도의 주체(主體)는 누구인가? 곧 전도는 누가 하는가?라는 문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성경적인 바른 이해는 전도의 성격을 올바르게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전도는 교회 목사를 비롯해 부흥사나 선교사 또는 전도사나 열심 있는 신자가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곧 인간이 복음전도의 주체가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것은 좁은 의미의 전도에 있어서 인간이 그 주체가 되어 전도사역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위적 방법에 의한 잘못된 전도 활동이 공공연하게 자행되고 있다. 그러나 복음전도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삼위(三位)의 하나님이시다. 다시 말하면, 복음전도는 인간의 사역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역이라는 말이다. 이는 좁은 의미의 전도에 있어서만..

카테고리 없음 2020.02.11